| 
 구분  | 
 사업명(동아리명)  | 
 사업내용  | 
| 
 1  | 
 쁘리벳(안녕!) 한국 
(아트퍼블릭 모두)  | 
 -안산거주 고려인들에게 한국 역사 및 지역 답사를 매개로 하여 한국사회의 언어와 문화를 전달하고 공유하여 보다 개방적이고 창조적인 공동체를 구성한다.(역사/문화 답사)  | 
| 
 풀뿌리  | ||
| 
 2  | 
 우르두어로 배우는 파키스탄 문화교실 
(파키스탄 커플모임)  | 
 -파키스탄어(우르두어)와 파키스탄문화를 습득하여 다문화가정의 상호이해와 소통이 되는 가족이 됨 
-이주남성들도 다문화사회에서 소외감 없이 안정적인 삶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함.  | 
| 
 풀뿌리  | ||
| 
 3  | 
 와리마루, 마을 주민 대출 중 
(와리마루)  | 
 -우리동네 사람 책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사람 책이 되기도 하고, 독자가 되어봄 
-주민들과 함께 마을을 위한 사업을 통해 마을공동체를 형성하고, 마을에대한 애착심을 형성시킴  | 
| 
 풀뿌리  | ||
| 
 4  | 
 2014안산도시농업한마당 
‘도시를 경작하라’ 
(안산도시농업연대)  | 
 -도시텃밭경작활동을 통해 농업의 중요성을 체득함. 
-친환경적인 생태순환농법을도시텃밭 경작 
활동에 적용하여 생활환경을 개선에 노력함. 
-도시텃밭경작자들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함.  | 
| 
 단체 [안산도시농업연대]  | ||
| 
 5  | 
 찾아가는 ESD 유아교실 
[ESD]  | 
 -창의적 체험 ESD 융합 교실 운영을 통하여 
미래환경의 주인인 영유아 및 청소년에게 환 
경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환경 친화적 민주 
시민을 양성함.  | 
| 
 기관 [안산고등학교]  | ||
| 
 6  | 
 2014 안산청년아카데미 
(청년플러스)  | 
 -파편화된 청년들의 공동체성 회복을 통해 당면한 문제해결 뿐만 아니라, 나아가 청년들이 풀뿌리 지역사회에 일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음 
-강연+책 출판을 통한 청춘스케치Book  | 
| 
 단체 [안산새사회연대 일:다]  | ||
| 
 7  | 
 우리가 꿈꾸는 자연을 위해 
세상과 만나다 
(씨밀레)  | 
 -중.고등학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환경교육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해 친환경적 가치관 형성의 기틀 마련 
-기존 기자단에 대한 심화교육을 통해 환경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 논리적 사고 유도  | 
| 
 단체 [안산환경운동연합]  | ||
| 
 8  | 
 청년 역사서포터즈 
(안산청년회)  | 
 -안산지역에 대한 세미나와 기행으로 도시에 대한 정주의식을 높임 
-청년들의 민주의식 시민의식을 높임으로 안산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임  | 
| 
 풀뿌리  | 
| 
 9  | 
 검은머리물떼새에게 
밥상을 돌려주세요 
(갈매바람)  | 
 -안산의 생태자원인 시화호의 이해와 생태.환경적 중요성을 익히고, 배우면서 습지생물과의 만남의 기회를 통해 얻어진 생태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환경연극이라는 결과물을 만들어낸다.  | 
| 
 단체 [시화호생명지킴이]  | ||
| 
 10  | 
 나우리 인형극단 Three Go! 
(나우리)  | 
 -고등학생들의 찾아가는 인형극단 공연을 매개체로 지역주민의 올바른 다문화 인식 개선을 실현시킴. 
-지역사회에 대한 소통과 화합의 장을 마련하여 자발적으로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소통하는 전문적인 청소년 문화공연활동단으로 성장 함  | 
| 
 기관 [안산청소년문화의집]  | ||
| 
 11  | 
 다행(多幸)프로젝트 
(여성한부모 자조모임 “위풍당당”)  | 
 -한부모 당사자를 대상으로 강사양성훈련을 진행함으로써 한부모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고, 자신들의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편견과 차별을 개선하는 현장감 있는 교육을 진행 함.  | 
| 
 단체 [안산여성노동자회] 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