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
 구분  | 
 사업명(동아리명)  | 
 사업내용  | 
| 
 1  | 
 천가방 극단의 “갯쑥부쟁이의 꿈” 
(갈매바람)  | 
 -기수역의 생태계 강의와 현장학습을 통해 우리지역의 습지특성을 이해함. 
-천그림과 인형을 이용하여 지역아동센터 및 어린이집에 환경교육을 함.  | 
| 
 단체 [시화호생명지킴이]  | ||
| 
 2  | 
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통통한 생활정치 
(안산의정지킴이)  | 
 -생활정치 실현을 위한 지역 내 여성지도력을 양성함. 
-시민의 참여를 통한 지방정치의 발전과 시민의식 함양을 도모함.  | 
| 
 단체 [안산YWCA]  | ||
| 
 3  | 
 세상을 향해 뛰어라! 
탁틴 청소년기자단 
(탁틴내일 청소년기자단)  | 
 -청소년들이 직접 자신의 눈높이로 사회, 문화, 환경, 세월호참사 등을 관찰하고 바른 의식과 토론문화를 형성함. 
-청소년기자로서의 전문적인 능력을 향상시켜올바른 사회관을 인식하고자 하는 장을 만듦.  | 
| 
 단체 [안산 탁틴내일]  | ||
| 
 4  | 
 안산청년프로젝트 을(乙)아차차! 
(경기청년유니온 안산모임)  | 
 -안산에서 일하거나 거주하는 청년들이 자신 
들의 노동/일자리/경제 문제를 스스로 찾고 
대안을 마련하는 과정을 만듦.  
-사회적 을(乙)이 되고 있는 청년들이 겪고 있는 노동/일자리/경제 문제를 중심으로 안산지역 청년들의 커뮤니티 유니온을 형성함.  | 
| 
 단체 [경기청년유니온]  | ||
| 
 5  | 
 창년, 평화나비 
(안산청년회)  | 
 -분단 70년을 돌아보며 평화와 통일, 민주주의와 인권을 배우고 돈보다 사람의 가치를 중요시 여기는 배움을 진행함 
-배움과 실천 활동으로 안산의 청년들과 시민들의 시민의식을 높이고 공동체를 이룸으로 정주의식을 가지게 함.  | 
| 
 풀뿌리 [안산청년회]  | ||
| 
 6  | 
 부모와 함께하는 ESD 유아교실 
(안산고 ESD)  | 
 -정규 교육과정 안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배운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을 아끼고 보전하는 일을 스스로 찾고, 부모와 함께하는 ESD 유아교실을 운영하여 지역사회에 홍보하여 환경교육의 장을 형성함  | 
| 
 기관 [안산고등학교]  | ||
| 
 7  | 
 미디어 크로스 2015 
(안산미디어제작단)  | 
 -안산 지역 내 내·외국인이 함께 참여하는 미디어·네트워크 교실을 통해 ‘안산 미디어 마을공동체’를 만들어보고자 함.  | 
| 
 단체 [지구인의 정류장]  | ||
| 
 8  | 
 2015안산청년아카데미 
「길에서 길을 만드는 청춘」 
(청년플러스)  | 
 -파편화된 청년들에게 공동체의 필요성에 대해 알림 
-공동의 청년문제 해결 방안에 대한 논의 
-안산지역 청년들의 공동체 만들기 및 커뮤니티 활성화  | 
| 
 단체 [안산새사회연대 일:다]  | 
| 
 9  | 
 어린 농부학교 
“애들아 텃밭에서 놀자” 
(호미아줌마들)  | 
 -친환경적인 생태순환농법으로 텃밭경작활동을 하고 자연의 소중함과 농업의 중요성을 앎 
-경작해서 수확한 작물을 이용한 건강한 먹을거리를 만들어 먹어보며서 환경, 건강, 배려의 마음을 배워본다  | 
| 
 단체 [안산경실련]  | ||
| 
 10  | 
 청소년 환경실천단 
‘우리 손으로 만드는 안전한 지구’ 
(주부환경실천동아리 ‘씨밀레’)  | 
 -중․고생들이 직접 안산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기온을 측정함으로써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깨닫고 이를 막기 위한 생활실천을 유도함. 
-시민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진행해 환경보전에 대한 참여의지를 갖고 녹색운동을 실천할 수 있는 청소년 양성.  | 
| 
 단체 [안산환경운동연합]  | ||
| 
 11  | 
 다양한 가족이 행복한세상 만들기 
프로젝트 
(여성한부모자조모임“위풍당당”)  | 
 -다.행 전문강사단의 전문성을 높이고, 대상별 교육매뉴얼을 마련하고 효과적인 내용전달을 위한 강의기법 및 교육도구를 개발함. 
-체계적인 현장방문 교육 확대 및 활성화로가족에 대한 패러다임을 변화시킴.  | 
| 
 단체 [사)안산여성노동자회] 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