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62
- 침묵의 봄 – 저자 레이첼카슨(Rachel Carson)
-
- 과학기술이 초래한 환경오염의 위험을 공식적으로 알린 신호탄
1972
- 유엔인간환경회의 (UNCHE)
-
- 환경문제를 주제로 한 첫 국제회의
- 지구환경과 자원고갈을 막기 위한 '인간환경선언'(스톡홀름선언) 채택
- 6월 5일 "세계환경의 날"로 제정
1972
- “로마클럽(Club of Rome)”
-
- '성장의 한계' 보고서 발간
- 인구증가. 자원고갈. 환경오염계속되면 100년 이내 지구가 한계에 도달할 것임을 경고함.
-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첫 등장
1987
- 세계환경개발위원회(WCED)
-
- 우리 공동의 미래 보고서 발간(브룬트란트보고서)
- 환경정책과 개발전략을 통합시키기 위한 토대를 제공
1992
- 유엔세계정상회의(UNCED) - 리우회의
-
- 우리 공동의 미래 보고서 발간(브룬트란트보고서)
- 환경정책과 개발전략을 통합시키기 위한 토대를 제공
1995
-
- 부산시를 시작으로 지자체에서 지방의제21 수립 실천
1992
- ‘새천년 국가환경비전’ 선언
-
- 후속조치로 2002년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출범
2000
- 유엔새천년정상회의
-
- '성장의 한계' 보고서 발간
- 인구증가. 자원고갈. 환경오염계속되면 100년 이내 지구가 한계에 도달할 것임을 경고함.
-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첫 등장
2002
-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(WSSD)
-
- 의제21 채택 10주년: 국제사회의 의제21실천과 행동 평가
- '요하네스버그 선언‘ 채택: 의제21의 구체적인 이행계획
2006
- 제1차 국가 지속가능발전 전략 및 이행계획 발표
-
- 국내 최초의 경제·사회·환경 분야 통합 관리 전략/실천계획
2007
-
- 「 지속가능발전기본법 」 공포
- 지속가능발전을 보장하는 법적 장치 마련
2010
-
- 「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」 제정
- 「 지속가능발전기본법 」 → 「 지속가능발전법 」 으로 변경
- 대통령직속→환경부장관 소속으로 위원회변경
2011
-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(‘11~‘15) 수립
2012
- Rio+12정상회의(UNCSD)
-
- ‘우리가 원하는 미래(The Future We Want) 채택
- 녹색경제(Green Economy) 채택 –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한 도구
- 새천년개발목표(MDGs)를 대체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(SDGs)설정 절차에 동의
2015
- 유엔개발정상회의(UNGA)
-
- '세계의 변혁: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30 아젠다' 보고서 채택(지속가능발전목표.SDGs)
2015
- 기후변화협약총회(COP21)
-
- 파리협정(Paris Agreement) 체결 – 2020년 말료예정인 교토의정서 대체
- 기온의 상승폭을 2℃이하로 낮추고, 온실가스와 탄소배출 감소를 위한 방안 모색
2016
-
-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(‘16~‘35) 수립